enumerate

 

enumerate는 열거하다라는 의미로 인덱스 번호와 원소 값을 enumerate 객체로 반환합니다.


반복문을 사용할 때 몇 번째 반복문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주로 for문과 사용합니다.

 

a={1, 2, 3, 4, 5}

for index, value in enumerate(a):

    # 출력>>0 1
    #       1 2
    #       2 3
    #       3 4
    #       4 5
    print(index,value)

b=enumerate((1, 2, 3, 4, 5))

# 출력>>[(0, 1), (1, 2), (2, 3), (3, 4), (4, 5)]
print(list(b))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_기초 34_rjust와 ljust, zfill  (0) 2020.06.04
파이썬_기초 33_zip  (0) 2020.06.04
파이썬_기초 31_Counter  (0) 2020.05.30
파이썬_기초 30_딕셔너리(Dictionary)  (0) 2020.05.30
파이썬_기초 29_lambda  (0) 2020.05.19

Counter

 

Counter는 collections의 모듈인 Counter 클래스를 사용합니다.

 

Counter는 항목의 개수를 세어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a=[1,2,3,4,5,1,3,5,1,5,5]
b='abcdeaceabaeaa'

# 출력>>Counter({5: 4, 1: 3, 3: 2, 2: 1, 4: 1})
print(Counter(a))

# 출력>>Counter({'a': 6, 'e': 3, 'b': 2, 'c': 2, 'd': 1})
print(Counter(b))

Counter는 딕셔너리 형태로 Key 값으로 요소의 이름, Value 값으로 요소들의 횟수를 출력해줍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b='abcdeaceabaeaa'
c='eabdeabc'

# 출력>>Counter({'a': 6, 'e': 3, 'b': 2, 'c': 2, 'd': 1})
print(Counter(b))

# 출력>>Counter({'e': 2, 'a': 2, 'b': 2, 'd': 1, 'c': 1})
print(Counter(c))

# 출력>>Counter({'a': 8, 'e': 5, 'b': 4, 'c': 3, 'd': 2})
print(Counter(b) + Counter(c))

# 출력>>Counter({'a': 4, 'c': 1, 'e': 1})
print(Counter(b) - Counter(c))

# 출력>>Counter()
print(Counter(c) - Counter(b))

# 출력>>[('a', 6), ('e', 3)]
print(Counter(b).most_common(2))

Counter를 이용해 계산도 가능합니다.

 

c에서 b를 빼면 c가 전체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빈 값으로 나옵니다.

 

most_common('상위요소 수')를 통해 상위요소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상위요소의 수를 쓰지 않으면 전체요소를 출력해줍니다.

 


count와 Counter는 모두 항목의 개수를 세어줄 때 많이 사용합니다.

 

count의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여기서 각각의 리스트의 개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for문을 통해 count를 n번하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는 O(N2)입니다.

 

Counter 클래스를 이용해 Counter를 n번 하면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딕셔너리에서 원소를 접근할 때의 시간 복잡도는 O(1)이기 때문입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a=[0, 1, 2, 3, 4, 0, 2, 4, 0, 2, 1, 1, 1, 1, 1, 2, 4]

# count 사용
for i in range(5):
    # 출력>>3 6 4 1 3
    print(a.count(i),end=' ')

# Counter 사용
counter = Counter(a)
for i in range(5):
    # 출력>>3 6 4 1 3
    print(counter[i],end=' ')

count를 여러번 사용하는 경우는 Counter 클래스가 더욱 유용합니다.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_기초 33_zip  (0) 2020.06.04
파이썬_기초 32_enumerate  (0) 2020.05.31
파이썬_기초 30_딕셔너리(Dictionary)  (0) 2020.05.30
파이썬_기초 29_lambda  (0) 2020.05.19
파이썬_기초 28_def 함수이름()  (0) 2020.05.19

 딕셔너리(Dictionary)

 

딕셔너리는 사전이라는 의미로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입니다.
해시나 연관배열이라고도 합니다.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딕셔너리 기본 구조입니다.

 

key='apple' value='사과'
key='banana' value='바나나'

 

Key:Value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Key에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Value에는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Key에 리스트는 쓸 수 없고 튜플은 쓸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의 특징은 Key를 통해 Value를 얻는다는 것입니다.

 

딕셔너리에서 Key는 고유한 값이므로 중복되는 Key 값을 설정해 놓으면 하나만 출력이 됩니다.

 

a={1:'value1', 2:'value2',3:'value3'}

a[4]='value4'

# 출력>>{1: 'value1', 2: 'value2', 3: 'value3', 4: 'value4'}
print(a)

a['five']='value5'

# 출력>>{1: 'value1', 2: 'value2', 3: 'value3', 4: 'value4', 'five': 'value5'}
print(a)

딕셔너리이름[Key]=Value를 통해 딕셔너리에 추가가 가능합니다.

 

a={1:'value1', 2:'value2',3:'value3'}

del a[2]

# 출력>>{1: 'value1', 3: 'value3'}
print(a)

del[Key]를 입력하면 Key:Value가 삭제됩니다.

 

a={1:'value1', 2:'value2',3:'value3'}

# 출력>>value2
print(a[2])

딕셔너리이름[Key]를 통해 Valu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a={1:'value1', 2:'value2',3:'value3'}

# 출력>>dict_keys([1, 2, 3])
print(a.keys())

# 출력>>dict_values(['value1', 'value2', 'value3'])
print(a.values())

# 출력>>dict_items([(1, 'value1'), (2, 'value2'), (3, 'value3')])
print(a.items())

# 출력>>None
print(a.clear())

딕셔너리이름.keys()를 통해 Key값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이름.values()를 통해 Value값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이름.items()를 통해 Key와 Value 쌍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이름.claer()을 입력하면 Key와 Value 쌍들을 모두 지울 수 있습니다.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_기초 32_enumerate  (0) 2020.05.31
파이썬_기초 31_Counter  (0) 2020.05.30
파이썬_기초 29_lambda  (0) 2020.05.19
파이썬_기초 28_def 함수이름()  (0) 2020.05.19
파이썬_기초 27_find(), index()  (0) 2020.04.28

 리스트(List)

 

리스트 이름=[요소1, 요소2, ...]

리스트의 기본 구조입니다.

 

리스트는 대괄호 []를 사용하여 감싸줍니다.

 

a = list()
b = []

빈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a=[1,2,3]
b=['aa','bb']
c=['aaa',1,2]

리스트 안의 요소는 서로 같은 형식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a=[1,2,3,4,5]

# 출력>>1
print(a[0])

# 출력>>4
print(a[0]+a[2])

# 출력>>5
print(a[-1])

리스트의 index는 0부터 시작합니다.

 

a[-1]은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의 값을 의미합니다.

 

a=[1,2,3,4,5]

# 출력>>[1, 2]
print(a[0:2])

# 출력>>[1, 2]
print(a[:2])

# 출력>>[3, 4, 5]
print(a[2:])

리스트에서 슬라이싱은 사용 가능합니다.

 

a[0:2] :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소부터 세 번째 요소 전까지의 값을 나타냅니다.

a[:2] :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소부터 세 번째 요소 전까지의 값을 나타냅니다.

a[2:] : 리스트 a의 세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의 값을 나타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