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ed()
sorted()는 이터러블 객체(리스트, 튜플 등등)로부터 정렬된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즉, sorted()는 기존의 리스트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기존 리스트도 필요하면 sorted()를 쓰면 좋습니다.
sort()를 사용해도 정렬이 되지만 이 경우에는 리스트 자체를 변경합니다.
a=[3,1,4,2,5]
b=[3,1,4,2,5]
a.sort()
sorted(b)
# 결과>>[1, 2, 3, 4, 5]
print(a)
# 결과>>[3, 1, 4, 2, 5]
print(b)
c=sorted(b)
# 결과>>[1, 2, 3, 4, 5]
print(c)
b의 결과를 보면 정렬이 되지 않고 기존 리스트 b의 값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orted()는 리스트 자체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c에 sorted(b)를 적용했습니다.
그 후 c의 결과를 출력하면 정렬이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3,1,4,2,5]
b=['aaa','dddd','e','bb','ccccc']
# 결과>>[5, 4, 3, 2, 1]
print(sorted(a, reverse=True))
# 결과>>['e', 'bb', 'aaa', 'dddd', 'ccccc']
print(sorted(b, key=len))
sorted()에 있는 인자들입니다.
reverse인자 : reverse=True를 추가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
key인자 : 비교할 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함수의 반환값을 비교해 정렬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_기초 27_find(), index() (0) | 2020.04.28 |
---|---|
파이썬_기초 26_slice() (0) | 2020.04.28 |
파이썬_기초 24_sys.stdin.readline (0) | 2020.04.22 |
파이썬_기초 23_replace(), split(), join() (0) | 2020.04.20 |
파이썬_기초 22_lstrip(), rstrip(), strip()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