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조건

 

  • 문자열 전체의 짝/홀수 인덱스가 아니라, 단어(공백을 기준)별로 짝/홀수 인덱스를 판단해야합니다.
  • 첫 번째 글자는 0번째 인덱스로 보아 짝수번째 알파벳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s return
try hello world TrY HeLlO WoRlD

 

입출력 예 설명


try hello world는 세 단어 try, hello, world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홀수번째 문자를 소문자로 바꾸면 TrY, HeLlO, WoRlD입니다. 따라서 TrY HeLlO WoRlD 를 리턴합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s):
    s=s.split(' ')
    answer=[]
    for i in range(len(s)):
        a=list(s[i])
        for j in range(len(a)):
            if j % 2 == 0:
                answer.append(a[j].upper())
            else:
                answer.append(a[j].lower())
        answer.append(' ')
    answer.pop()
    return ''.join(answer)

 

1. s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눕니다.
2. 각 단어를 위치에 따라 짝수이면 대문자로 바꾸고 홀수이면 소문자로 바꿔 answer에 넣어줍니다.
3. 각 단어가 끝날때마다 공백을 하나 넣어주고 마지막 단어가 끝나고는 공백을 하나 제거합니다.
4. answer를 합쳐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이상한 문자 만들기'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0

 

코딩테스트 연습 - 이상한 문자 만들기

문자열 s는 한 개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는 하나 이상의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정수 n을 입력받아 n의 약수를 모두 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조건

 

  • n은 0 이상 3000이하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turn
12 28
5 6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2의 약수는 1, 2, 3, 4, 6, 12입니다. 이를 모두 더하면 28입니다.

입출력 예 #2
5의 약수는 1, 5입니다. 이를 모두 더하면 6입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n):
    answer = 0
    for i in range(1,n+1):
        if n % i == 0:
            answer += i
    return answer

1. 1부터 n까지 n의 약수이면 값을 더해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약수의 합'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8

 

코딩테스트 연습 - 약수의 합

정수 n을 입력받아 n의 약수를 모두 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은 0 이상 3000이하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turn 12 28 5 6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2의 약수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됩니다. 문자열 s와 거리 n을 입력받아 s를 n만큼 민 암호문을 만드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제한조건

 

  • 공백은 아무리 밀어도 공백입니다.
  • s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s의 길이는 8000이하입니다.
  • n은 1 이상, 25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s n result
'AB' 1 'BC'
'z' 1 'a'
'a B z' 4 'e F d'

 

나의 풀이

 

def solution(s, n):
    s=list(s)
    answer=[]
    a=ord('z')-ord('a')+1
    for i in s:
        if i == ' ':
            answer += ' '
            continue
        elif i == i.lower():
            answer += chr((ord(i) - ord('a') + n) % a + ord('a'))
        elif i == i.upper():
            answer += chr((ord(i) - ord('A') + n) % a + ord('A'))

    return ''.join(answer)

1. s는 리스트로 바꾸고 알파벳 a부터 z까지의 개수를 구합니다.
2. 리스트 s에서 각 자리의 알파벳은 소문자인 경우와 대문자인 경우로 나눠서 n 거리만큼 밀어줍니다.
   공백은 공백으로 answer에 더해줍니다.
3. answer을 합쳐 리턴해줍니다.


프로그래머스 '시저 암호'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6

 

코딩테스트 연습 - 시저 암호

어떤 문장의 각 알파벳을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꾸는 암호화 방식을 시저 암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는 1만큼 밀면 BC가 되고, 3만큼 밀면 DE가 됩니다. z는 1만큼 밀면 a가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조건

 

  •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됩니다.
str은 부호(+,-)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고,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s):
    return int(s)

1. s를 int형으로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5

 

코딩테스트 연습 -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길이가 n이고, 수박수박수박수....와 같은 패턴을 유지하는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n이 4이면 수박수박을 리턴하고 3이라면 수박수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조건

 

  • n은 길이 10,000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turn
3 '수박수'
4 '수박수박'

 

나의 풀이

 

def solution(n):
    return '수박' * (n // 2) + '수' * (n % 2)

1. n을 2로 나눈 몫만큼 '수박'을 출력하고 n을 2로 나눈 나머지만큼 '수'를 출력해 리턴합니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n):
    s = "수박" * n
    return s[:n]

'수박'을 n만큼 곱하고 n-1까지 출력해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2

 

코딩테스트 연습 - 수박수박수박수박수박수?

길이가 n이고, 수박수박수박수....와 같은 패턴을 유지하는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들어 n이 4이면 수박수박을 리턴하고 3이라면 수박수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1부터 입력받은 숫자 n 사이에 있는 소수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소수는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수를 의미합니다.
(1은 소수가 아닙니다.)

 

제한조건

 

  • n은 2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n result
10 4
5 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부터 10 사이의 소수는 [2,3,5,7] 4개가 존재하므로 4를 반환

입출력 예 #2
1부터 5 사이의 소수는 [2,3,5] 3개가 존재하므로 3를 반환

 

나의 풀이

 

def solution(n):
    n = n + 1
    answer= [True] * n
    for i in range(2,int(n**0.5)+1):
        if answer[i] == True:
            for j in range(i+i,n,i):
                answer[j]=False
    a=[i for i in range(2,n) if answer[i]== True]

    return len(a)

1. 리스트 answer을 모두 소수라고 생각해 True로 값을 설정합니다.
2. 2부터 int(n**0.5)까지 소수인지 확인합니다.
   int(n**0.5)인 이유는 n의 최대 약수가 int(n**0.5)이하이기 때문입니다.
3. 2번에서 소수인 숫자의 배수들은 소수가 아니기 때문에 다음 for문에서 소수가 아니라고 False로 설정해줍니다.
4. 2번과 3번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5. 리스트 answer의 값이 True인(소수인 것) 값들의 개수를 리턴합니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n):
    num=set(range(2,n+1))
    print('num',num)

    for i in range(2,n+1):
        if i in num:
            num-=set(range(2*i,n+1,i))
    return len(num)

2부터 n까지 중복제거한 리스트를 생성합니다.
2부터 n까지 소수인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소수인 숫자의 배수들은 set을 통해 제거하여 num을 설정해줍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고 num의 길이를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소수 찾기'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21

 

코딩테스트 연습 - 소수 찾기

1부터 입력받은 숫자 n 사이에 있는 소수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 소수는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수를 의미합니다. (1은 소수가 아닙니다.) 제한 조건 n은 2이상

programmers.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