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조건

 

  • record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담긴 배열이며,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이다.
  • 다음은 record에 담긴 문자열에 대한 설명이다.
    • 모든 유저는 [유저 아이디]로 구분한다.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으로 채팅방에 입장 - Enter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Enter uid1234 Muzi)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퇴장 - Leave [유저 아이디] (ex. Leave uid1234)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을 [닉네임]으로 변경 - Change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Change uid1234 Muzi)
    • 첫 단어는 Enter, Leave, Change 중 하나이다.
    • 각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로만 이루어져있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은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한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의 길이는 1 이상 10 이하이다.
    • 채팅방에서 나간 유저가 닉네임을 변경하는 등 잘못 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는다.

 

 

입출력 예

 

record result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record):
    d=dict()
    r=[]
    for i in record:
        a=i.split()
        if a[0] == 'Enter' or a[0] == 'Change':
            d[a[1]]=a[2]
    for i in record:
        a=i.split()
        if a[0] == 'Enter':
            r.append(d[a[1]]+'님이 들어왔습니다.')
        elif a[0] == 'Leave':
            r.append(d[a[1]]+'님이 나갔습니다.')
    return r

딕셔너리의 키는 아이디, 값은 닉네임으로 생각해 문제를 풀었습니다.

 

1. 채팅창의 메시지가 Enter나 Change일 경우 딕셔너리의 키에 해당하는 닉네임을 변경합니다.
2. 채팅창의 메시지가 Enter이면 딕셔너리에서 닉네임을 가져와 들어왔다는 메시지를, 채팅창의 메시지가 Leave이면 딕셔너리에서 닉네임을 가져와 나갔다는 메시지를 리스트 r에 추가합니다.
3. 리스트 r을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오픈채팅방'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8

 

코딩테스트 연습 - 오픈채팅방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캐시

지도개발팀에서 근무하는 제이지는 지도에서 도시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도시와 관련된 맛집 게시물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보여주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테스팅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어피치는 서비스를 오픈하기 전 각 로직에 대한 성능 측정을 수행하였는데, 제이지가 작성한 부분 중 데이터베이스에서 게시물을 가져오는 부분의 실행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피치는 제이지에게 해당 로직을 개선하라고 닦달하기 시작하였고, 제이지는 DB 캐시를 적용하여 성능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캐시 크기를 얼마로 해야 효율적인지 몰라 난감한 상황이다.

어피치에게 시달리는 제이지를 도와, DB 캐시를 적용할 때 캐시 크기에 따른 실행시간 측정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형식

 

  • 캐시 크기(cacheSize)와 도시이름 배열(cities)을 입력받는다.
  • cacheSize는 정수이며, 범위는 0 ≦ cacheSize ≦ 30 이다.
  • cities는 도시 이름으로 이뤄진 문자열 배열로, 최대 도시 수는 100,000개이다.
  • 각 도시 이름은 공백, 숫자, 특수문자 등이 없는 영문자로 구성되며,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는다. 도시 이름은 최대 20자로 이루어져 있다.

 

 

출력 형식

 

  • 입력된 도시이름 배열을 순서대로 처리할 때, 총 실행시간을 출력한다.

조건

 

  • 캐시 교체 알고리즘은 LRU(Least Recently Used)를 사용한다.
  • cache hit일 경우 실행시간은 1이다.
  • cache miss일 경우 실행시간은 5이다.

 

 

입출력 예

 

캐시크기(cacheSize) 도시이름(cities) 실행시간
3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50
3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21
2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60
5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52
2 [Jeju, Pangyo, NewYork, newyork] 16
0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25

 

나의 풀이

 

def solution(cacheSize, cities):
    d=dict()
    r =0 
    for i, v in enumerate(cities):
        v=v.lower()

        if cacheSize == 0: # 캐시사이즈 0인 경우
            return len(cities)*5

        if len(d) < cacheSize: 
            if v in d.keys():
                r += 1
                d[v]=i+1
            else:
                r += 5
                d[v]=i+1
        else:
            if v in d.keys():
                r += 1
                d[v]=i+1
            else: 
                for j in d.keys():
                    if d[j] == min(d.values()):
                        del d[j]
                        break
                d[v]=i+1
                r += 5
    return r

 

조건에 주목해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LRU 알고리즘은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입니다.
cache hit는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할경우 해당 데이터를 반환하는 경우입니다.
cache miss는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저장중인 데이터를 선택해 변경하는 경우입니다.

 

딕셔너리에 키로 도시이름을 저장하고 값으로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간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딕셔너리의 크기는 캐시크기만큼 가능합니다.

 

1. 캐시사이즈가 0인 경우 실행시간은 모두 cache miss에 의해 실행되서 len(cities)*5를 리턴합니다.
2-1. 딕셔러니가 캐시사이즈보다 작을 때 도시이름이 딕셔너리에 있다면 cache hit 경우로 실행시간에 1을 더하고
딕셔너리 값을 변경합니다.
2-2. 도시이름이 딕셔너리에 없다면 cache miss 경우로 실행시간에 5를 더하고 딕셔너리 값을 추가합니다.
3. 딕셔너리가 가득 찬 경우입니다.
3-1. 도시이름이 딕셔너리에 있다면 cache hit 경우로 실행시간에 1을 더하고 딕셔너리 값을 변경합니다.
3-2. 도시이름이 딕셔너리에 있다면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값을 제거하고 실행시간에 5를 더하고 딕셔너리에 키와 값을 추가합니다.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cacheSize, cities):
    import collections
    cache = collections.deque(maxlen=cacheSize)
    time = 0
    for i in cities:
        s = i.lower()
        if s in cache:
            cache.remove(s)
            cache.append(s)
            time += 1
        else:
            cache.append(s)
            time += 5
    return time

deque(maxlen=cacheSize)로 고정 크기 큐를 만듭니다.
도시이름이 큐에 있다면 큐에 있는 도시이름을 삭제합니다.
도시이름을 큐에 추가하고 시간을 1 증가합니다.
도시이름이 큐에 없다면 큐에 도시이름을 추가하고 시간을 5 증가합니다. (큐가 찬 상태에서 새 아이템을 넣으면 첫 아이템이 자동으로 삭제)
for문 후에 시간을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1차] 캐시'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0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캐시

3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50 3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Jeju, Pangyo, Seoul] 21 2 [Jeju, Pangyo, Seoul, NewYork, LA, SanFrancisco, Seoul, Rome, Paris, Jeju, NewYork, Rome] 60 5 [Jeju, Pangyo, S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프렌즈4블록

블라인드 공채를 통과한 신입 사원 라이언은 신규 게임 개발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번에 출시할 게임 제목은 프렌즈4블록.
같은 모양의 카카오프렌즈 블록이 2×2 형태로 4개가 붙어있을 경우 사라지면서 점수를 얻는 게임이다.


만약 판이 위와 같이 주어질 경우, 라이언이 2×2로 배치된 7개 블록과 콘이 2×2로 배치된 4개 블록이 지워진다. 같은 블록은 여러 2×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지워지는 조건에 만족하는 2×2 모양이 여러 개 있다면 한꺼번에 지워진다.

블록이 지워진 후에 위에 있는 블록이 아래로 떨어져 빈 공간을 채우게 된다.

만약 빈 공간을 채운 후에 다시 2×2 형태로 같은 모양의 블록이 모이면 다시 지워지고 떨어지고를 반복하게 된다.

위 초기 배치를 문자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TTTANT 
RRFACC 
RRRFCC 
TRRRAA 
TTMMMF 
TMMTTJ

각 문자는 라이언(R), 무지(M), 어피치(A), 프로도(F), 네오(N), 튜브(T), 제이지(J), 콘(C)을 의미한다

입력으로 블록의 첫 배치가 주어졌을 때, 지워지는 블록은 모두 몇 개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라.

 

입력 형식

 

  • 입력으로 판의 높이 m, 폭 n과 판의 배치 정보 board가 들어온다.
  • 2 ≦ n, m ≦ 30
  • board는 길이 n인 문자열 m개의 배열로 주어진다. 블록을 나타내는 문자는 대문자 A에서 Z가 사용된다.

 

출력 형식


입력으로 주어진 판 정보를 가지고 몇 개의 블록이 지워질지 출력하라.

입출력 예

 

m n board answer
4 5 [CCBDE, AAADE, AAABF, CCBBF] 14
6 6 [TTTANT, RRFACC, RRRFCC, TRRRAA, TTMMMF, TMMTTJ] 15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제 1의 경우, 첫 번째에는 A 블록 6개가 지워지고, 두 번째에는 B 블록 4개와 C 블록 4개가 지워져, 모두 14개의 블록이 지워진다.
  • 입출력 예제 2는 본문 설명에 있는 그림을 옮긴 것이다. 11개와 4개의 블록이 차례로 지워지며, 모두 15개의 블록이 지워진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m, n, board):
    boardd=[]
    for i in board: # 각 문자열을 리스트로 만들기
        boardd.append(list(i))
    r=0 # 지워지는 블록
   
    while True:
        a=[]
        for i in range(m-1): # 같은 모양의 블록이 2X2 형태로 붙어있는지 확인
            for j in range(n-1):
                if boardd[i][j] == boardd[i][j+1] == boardd[i+1][j] == boardd[i+1][j+1]: # 같은 모양의 블록
                    if boardd[i][j] != '' and boardd[i][j+1] != '' and boardd[i+1][j] != '' and boardd[i+1][j+1] != '':
                        a.append([i,j])
                        a.append([i,j+1])
                        a.append([i+1,j])
                        a.append([i+1,j+1])
                    
        if len(a) == 0: # 같은 모양의 블록이 없는 경우
            return r

        b=[]
        for i in a: # 리스트 a에서 중복 제거
            if i not in b:
                b.append(i)

        r+= len(b)
    
        for i in b: # 블록 사라지기
            x,y=i
            boardd[x][y]=''
        
        for i in range(n-1,-1,-1):
            c=[]
            d=0
            for j in range(m-1,-1,-1): # 각 열별로 밑에서부터 값 리스트 c에 담기
                if boardd[j][i] != '':
                    c.append(boardd[j][i])
                    
            for j in range(m-1,-1,-1): # 각 열별로 밑에서부터 값을 주기(블록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
                if len(c) != 0:
                    boardd[j][i]=c.pop(0)
                else:
                    boardd[j][i]=''

1. 판에서 같은 모양의 블록이 2X2 형태로 붙어있는지 확인해 붙어있다면 판에서의 위치를 리스트 a에 담습니다.
2. 같은 모양의 블록이 없는 경우 지워지는 블록인 r을 리턴합니다.
3. 리스트 a에서 같은 블록이 있는 경우 하나만 남깁니다.
4. 제거할 수 있는 블록 개수를 r에 더하고 블록을 지웁니다.
5. 블록을 아래로 떨어뜨려 빈 공간을 채웁니다. (각 열별로 밑에서부터 빈칸이 아닌 것들의 값을 저장하고 다시 밑에서부터 배정시키는 방식)
6. 1, 2, 3, 4, 5 조건을 반복하다 2조건을 충족하면 리턴하고 종료합니다.


프로그래머스 '[1차] 프렌즈4블록'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79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프렌즈4블록

프렌즈4블록 블라인드 공채를 통과한 신입 사원 라이언은 신규 게임 개발 업무를 맡게 되었다. 이번에 출시할 게임 제목은 프렌즈4블록. 같은 모양의 카카오프렌즈 블록이 2×2 형태로 4개가 붙��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뉴스 클러스터링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다양한 뉴스를 찾아볼 수 있도록 문제점을 개선하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개발의 방향을 잡기 위해 튜브는 우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카카오 신입 개발자 공채 관련 기사를 검색해보았다.

  • 카카오 첫 공채..'블라인드' 방식 채용
  • 카카오, 합병 후 첫 공채.. 블라인드 전형으로 개발자 채용
  • 카카오, 블라인드 전형으로 신입 개발자 공채
  • 카카오 공채, 신입 개발자 코딩 능력만 본다
  • 카카오, 신입 공채.. 코딩 실력만 본다
  • 카카오 코딩 능력만으로 2018 신입 개발자 뽑는다

기사의 제목을 기준으로 블라인드 전형에 주목하는 기사와 코딩 테스트에 주목하는 기사로 나뉘는 걸 발견했다. 튜브는 이들을 각각 묶어서 보여주면 카카오 공채 관련 기사를 찾아보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듯싶었다.

유사한 기사를 묶는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논문과 자료를 조사하던 튜브는 자카드 유사도라는 방법을 찾아냈다.

자카드 유사도는 집합 간의 유사도를 검사하는 여러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두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는 두 집합의 교집합 크기를 두 집합의 합집합 크기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집합 A = {1, 2, 3}, 집합 B = {2, 3, 4}라고 할 때, 교집합 A ∩ B = {2, 3}, 합집합 A ∪ B = {1, 2, 3, 4}이 되므로, 집합 A, B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A, B) = 2/4 = 0.5가 된다. 집합 A와 집합 B가 모두 공집합일 경우에는 나눗셈이 정의되지 않으니 따로 J(A, B) = 1로 정의한다.

자카드 유사도는 원소의 중복을 허용하는 다중집합에 대해서 확장할 수 있다. 다중집합 A는 원소 1을 3개 가지고 있고, 다중집합 B는 원소 1을 5개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이 다중집합의 교집합 A ∩ B는 원소 1을 min(3, 5)인 3개, 합집합 A ∪ B는 원소 1을 max(3, 5)인 5개 가지게 된다. 다중집합 A = {1, 1, 2, 2, 3}, 다중집합 B = {1, 2, 2, 4, 5}라고 하면, 교집합 A ∩ B = {1, 2, 2}, 합집합 A ∪ B = {1, 1, 2, 2, 3, 4, 5}가 되므로, 자카드 유사도 J(A, B) = 3/7, 약 0.42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문자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문자열 FRANCE와 FRENCH가 주어졌을 때, 이를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을 만들 수 있다. 각각 {FR, RA, AN, NC, CE}, {FR, RE, EN, NC, CH}가 되며, 교집합은 {FR, NC}, 합집합은 {FR, RA, AN, NC, CE, RE, EN, CH}가 되므로, 두 문자열 사이의 자카드 유사도 J("FRANCE", "FRENCH") = 2/8 = 0.25가 된다.

 

입력형식

 

  • 입력으로는 str1과 str2의 두 문자열이 들어온다. 각 문자열의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이다.
  • 입력으로 들어온 문자열은 두 글자씩 끊어서 다중집합의 원소로 만든다. 이때 영문자로 된 글자 쌍만 유효하고, 기타 공백이나 숫자, 특수 문자가 들어있는 경우는 그 글자 쌍을 버린다. 예를 들어 ab+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ab만 다중집합의 원소로 삼고, b+는 버린다.
  • 다중집합 원소 사이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의 차이는 무시한다. AB와 Ab, ab는 같은 원소로 취급한다.

 

출력형식


입력으로 들어온 두 문자열의 자카드 유사도를 출력한다. 유사도 값은 0에서 1 사이의 실수이므로, 이를 다루기 쉽도록 65536을 곱한 후에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정수부만 출력한다.

입출력 예

 

str1 str2 answer
FRANCE french 16384
handshake shake hands 65536
aa1+aa2 AAAA12 43690
E=M*C^2 e=m*c^2 65536

 

나의 풀이

 

def solution(str1, str2):
    
    def twoslice(strr): # 각 문자열을 두 글자씩 끊기
        sl=[]
        sd=dict()
        for i in range(len(strr)-1): 
            s=strr[i:i+2].lower()
            for j in s:
                if ord('a') > ord(j) or ord(j) > ord('z'):
                    break
            else:
                sl.append(s)
                if s in sd:
                    sd[s] += 1
                else:
                    sd[s] = 1
        return sl,sd

    s1,s1d=twoslice(str1)
    s2,s2d=twoslice(str2)

    a=set(s1) & set(s2) # 교집합
    b=set(s1) | set(s2) # 합집합
    aa,bb=0,0
    
    if len(a) == 0 and len(b) == 0: # 모두 공집합인 경우
        return 65536
    else: 
        for i in b: # 합집합_중복되는 요소 추가
                if i in s1d.keys() and i in s2d.keys(): # s1d, s2d에 요소가 있는 경우
                    c=max(s1d[i],s2d[i]) # 두 값 중 큰 것 선택
                elif i in s1d.keys(): # s1d에만 요소가 있는 경우
                    c=s1d[i]
                elif i in s2d.keys(): # s2d에만 요소가 있는 경우
                    c=s2d[i]
                    
                if c > 1:
                    for k in range(c-1):
                        bb += 1
                            
        if len(a) != 0: # 교집합이 0개가 아닌 경우      
            for i in a: # 교집합_중복되는 요소 추가
                if i in s1d.keys() and i in s2d.keys(): # s1d, s2d에 요소가 있는 경우
                    c=min(s1d[i],s2d[i]) # 두 값 중 작은 것 선택
                    if c > 1:
                        for k in range(c-1):
                            aa += 1      
                        
    return int((len(a)+aa)/(len(b)+bb)*65536)

두 문자열을 두 글자씩 끊고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했습니다.
set과 &, |을 통해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했기 때문에 중복된 문자열이 1개만 등록되었기 때문에 딕셔너리를 통해 원소의 중복이 있는 경우 처리해주었습니다.

 

1. 함수 twoslice를 통해 str1과 str2를 두 글자씩 끊어서 각각 리스트s1과 s2에 저장합니다.
2. s1과 s2에 set을 통해 교집합과 합집합을 구합니다.
3. 교집합과 합집합이 모두 공집합인 경우 65536을 리턴합니다.
4. 합집합에 추가해야하는 개수를 구합니다.
5. 교집합이 0개가 아니면 교집합에 추가해야 하는 개수를 구합니다.
6. 기존 교집합에 추가해야 하는 개수를 더해서 합집합에 추가해야 하는 개수를 더한 것에 나누고 65536을 곱하고 리턴합니다.

 

다른 사람의 풀이

 

import re
import math

def solution(str1, str2):
    str1 = [str1[i:i+2].lower() for i in range(0, len(str1)-1) if not re.findall('[^a-zA-Z]+', str1[i:i+2])]
    str2 = [str2[i:i+2].lower() for i in range(0, len(str2)-1) if not re.findall('[^a-zA-Z]+', str2[i:i+2])]

    gyo = set(str1) & set(str2)
    hap = set(str1) | set(str2)

    if len(hap) == 0 :
        return 65536

    gyo_sum = sum([min(str1.count(gg), str2.count(gg)) for gg in gyo])
    hap_sum = sum([max(str1.count(hh), str2.count(hh)) for hh in hap])

    return math.floor((gyo_sum/hap_sum)*65536)

정규표현식을 이용하여 str1과 str2를 두 글자씩 자르고 set과 &, |를 이용해 교집합, 합집합을 구합니다.

교집합의 요소를 str1과 str2에 있는 개수를 확인해서 더 작은 것을 리스트에 넣어 합을 구합니다.

합집합의 요소를 str1과 str2에 있는 개수를 확인해서 더 큰 것을 리스트에 넣어 합을 구합니다.

 

def solution(str1, str2):
    s1=[str1[i:i+2].lower() for i in range(len(str1)-1) if str1[i:i+2].isalpha()]
    s2=[str2[i:i+2].lower() for i in range(len(str2)-1) if str2[i:i+2].isalpha()]

    gyo = 0
    hap = 0

    for s in set(s1+s2):
        hap += max(s1.count(s), s2.count(s))
        gyo += min(s1.count(s), s2.count(s))

    if hap == 0:
        return 65536
    else: 
        return int(gyo/hap * 65536)

1. str1과 str2를 두 글자씩 자른 것이 모두 알파벳이면 s1, s2에 저장합니다.

2. s1과 s2를 더해 set을 적용하고 각 값들에 대해 교집합에는 min, 합집합에는 max를 이용해 개수를 선택해 더합니다.

3. hap가 0이면 65536을 리턴하고 0이 아니면 int(gyo/hap * 65536)를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1차] 뉴스 클러스터링'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77

 

코딩테스트 연습 - [1차] 뉴스 클러스터링

뉴스 클러스터링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지는 뉴스, 특히 속보성 뉴스를 보면 비슷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많아 정작 필요한 기사를 찾기가 어렵다. Daum 뉴스의 개발 업무를 맡게 된 신입사원 튜브��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용어의 정의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도 모두 맞을 경우에는 이를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지만 올바른 괄호 문자열은 아닙니다.
반면에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면서 동시에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w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라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1.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4.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를 붙입니다.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4-3. ')'를 다시 붙입니다.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 
4-5.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한 결과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매개변수 설명

  • p는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인 짝수입니다.
  • 문자열 p를 이루는 '(' 와 ')' 의 개수는 항상 같습니다.
  • 만약 p가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그대로 return 하면 됩니다.

 

입출력 예

 

p result
"(()())()" "(()())()"
")(" "()"
"()))((()"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입출력 예 #2

  •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 u = ")("
    • v = ""
  •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새로운 문자열을 만듭니다.
    •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하면 빈 문자열이 반환됩니다.
    • u의 앞뒤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의 괄호 방향을 뒤집으면 ""이 됩니다.
    • 따라서 생성되는 문자열은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로 변환됩니다.

입출력 예 #3

  •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 u = "()"
    • v = "))((()"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그대로 두고, v에 대해 재귀적으로 수행합니다.
  • 다시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 u = "))(("
    • v = "()"
  •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새로운 문자열을 만듭니다.
    •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하면 "()"이 반환됩니다.
    • u의 앞뒤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의 괄호 방향을 뒤집으면 "()"이 됩니다.
    • 따라서 생성되는 문자열은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를 반환합니다.
  • 처음에 그대로 둔 문자열에 반환된 문자열을 이어 붙이면 "()" + "(())()" = "()(())()"가 됩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p):
    
    def rightp(p):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검사
        pp=p
        for i in range(len(p)//2+1): 
            pp=pp.replace('()','')
            if len(pp)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def uv(p): # u, v로 나누기
        st=[]
        for i in range(len(p)):
            st.append(p[i])
            if st.count('(') == st.count(')'):
                return ''.join(st), p[i+1:]
            
    if rightp(p) is True or p is '':
        return p

    u,v=uv(p)

    if rightp(u) is True:
        return u+solution(v)
    else:
        a='('+solution(v)+')'

        for i,v in enumerate(u[1:-1]):
            if v == '(':
                a += ')'
            else:
                a += '('
        return a

def rightp는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def uv는 문자열을 u, v로 나눠주는 함수입니다.

 

1. 문자열 p가 빈 문자열이거나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 경우 p를 리턴합니다.
2. 함수 uv를 통해 u, v를 나눕니다.
2-1.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 경우 v를 처음부터 반복합니다.
2-2.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닌 경우 v를 처음부터 반복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방향을 바꿉니다.

 

함수를 통해 재귀를 하는 방식입니다.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프로그래머스 ''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8

 

코딩테스트 연습 - 괄호 변환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데이터 처리 전문가가 되고 싶은 어피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문자열에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문자의 개수와 반복되는 값으로 표현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줄여서 표현하는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로 aabbaccc의 경우 2a2ba3c(문자가 반복되지 않아 한번만 나타난 경우 1은 생략함)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반복되는 문자가 적은 경우 압축률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abcabcdede와 같은 문자열은 전혀 압축되지 않습니다. 어피치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자열을 1개 이상의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여 더 짧은 문자열로 표현할 수 있는지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ababcdcdababcdcd의 경우 문자를 1개 단위로 자르면 전혀 압축되지 않지만,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2cd2ab2cd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8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한다면 2ababcdcd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때가 가장 짧게 압축하여 표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른 예로, abcabcdede와 같은 경우, 문자를 2개 단위로 잘라서 압축하면 abcabc2de가 되지만, 3개 단위로 자른다면 2abcdede가 되어 3개 단위가 가장 짧은 압축 방법이 됩니다. 이때 3개 단위로 자르고 마지막에 남는 문자열은 그대로 붙여주면 됩니다.

압축할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1개 이상 단위로 문자열을 잘라 압축하여 표현한 문자열 중 가장 짧은 것의 길이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조건

 

  • 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s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aabbaccc" 7
"ababcdcdababcdcd" 9
"abcabcdede" 8
"abcabcabcabcdededededede" 14
"xababcdcdababcdcd" 17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자열을 1개 단위로 잘라 압축했을 때 가장 짧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자열을 8개 단위로 잘라 압축했을 때 가장 짧습니다.

입출력 예 #3

문자열을 3개 단위로 잘라 압축했을 때 가장 짧습니다.

입출력 예 #4

문자열을 2개 단위로 자르면 abcabcabcabc6de 가 됩니다.
문자열을 3개 단위로 자르면 4abcdededededede 가 됩니다.
문자열을 4개 단위로 자르면 abcabcabcabc3dede 가 됩니다.
문자열을 6개 단위로 자를 경우 2abcabc2dedede가 되며, 이때의 길이가 14로 가장 짧습니다.

입출력 예 #5

문자열은 제일 앞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잘라야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자열을 x / ababcdcd / ababcdcd 로 자르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이 경우 어떻게 문자열을 잘라도 압축되지 않으므로 가장 짧은 길이는 17이 됩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s):
    answer = len(s)
    for i in range(1,len(s)//2 + 1):
        n=0
        b=[]
        while True:
            if len(s) <= n:
                break
            a=s[n:]
            b.append(a[:i])
            n += i

        ss=[1,b[0]]
        for i in range(1,len(b)):
            if b[i] == b[i-1]:
                if b[i] in ss:
                    ss[-2] += 1
                else:
                    ss.append(2)
                    ss.append(b[i])
            else:
                ss.append(1)
                ss.append(b[i])

        one=ss.count(1)
        ss = ''.join(map(str,ss))
        answer = min(answer,len(ss)-one)
    return answer

 

1. 문자열을 i개 단위로 잘라 리스트 b에 저장합니다.
2. 리스트 b의 값들을 비교해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지 확인합니다.
2-1. 연속할경우 리스트 ss에 압축합니다.
2-2. 연속하지 않을 경우 리스트 ss에 넣습니다.
3. 리스트 ss를 문자열로 합쳐 1을 제외한 길이와 기존 길이중에 더 작은 것을 답으로 바꿉니다.
4. 1, 2, 3의 과정을 반복하여 가장 짧은 길이 answer를 리턴합니다.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압축'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57

 

코딩테스트 연습 - 문자열 압축

데이터 처리 전문가가 되고 싶은 어피치는 문자열을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대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간단한 비손실 압축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문자

programmers.co.kr

 

+ Recent posts